자동차도 정해진 날자는 없지만 그냥 더럽다고 생각하면 세차를 하듯,
비행기도 더러우면 세척을 해야한다. 미공군의 정비 매뉴얼에는 세척을 해야하는 시기를 지정하여두었다. 예를 들어 바닷가에 위치한 비행장(예를 들어 공군 강릉 비행장)이나 도심에 위치한 비행장(예를 들어 대구)은 자주 세척을 해야하고, 외지의 건조 지역에서는 좀더 완화하였다.(예를 들어 예천).
미공군은 자국군이 파견되어 나가있는 지역을 정기적으로 환경을 평가하고 세척을 해야하는 주기를 지정해준다. 오산이나 군산에도 세척주기를 정한다.
세척중인 미해군 F-18항공기이다. 미해군은 미공군보다 세척을 더욱 자주 해야한다.
그이유는 잘아시다시피, 금속 부식을 촉진시키는 염분이 항공기에 침착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공군보다 더 자주 세척을 요구한다.
사진에서는 테이프로 구멍을 모두 막고있다. 세척중에 물이 항공기 내부로 들어가지 않게하기 위함이다.
심지어는 캐노피도 긁히지 않게 Covering을 하였다. 절차상에는 이를 masking이라한다.
키작은 여군들은 아래쪽에서 세척을 위한 준비작업중이다.
해군 비행기는 부식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공군과는 다른 항공기 도료로 에나멜이 주성분인 페인트를 쓴다.
그래서 미해군 비행기는 공군에 비해 번쩍번쩍 광택이 난다.
귀환한 P-3 항공기에 샤워를 하고있다. 미해군, 공군 교범에 따르면 해상으로 저공 비행한 항공기는 귀환 후 세척을 해야한다. 매뉴얼상에 세척이 어려우면(인원과 시간이 너무 소요) 최소한의 린스 시설을 요구하고있다.
그냥 시동이 걸린상태에서 항공기가 통과만하면 된다.
항공기 바닥까지 구석 구석 씻어내기 위해 아래쪽에서도 물이 올라온다. 그렇다면 같은 조건이 우리나라 해군의 P3C의 운영 부대는 어떠한가?
마찬가지로 이와 동등한 시설을 보유하고 있지만 보안상 사진 게제는 불가하다.
사진은 C-2 수송기이다. E-2C는 이 수송기를 개조하여 만든 조기 경보기이다.
사막지역에서 작전을 하는 항공기는 염분제거를 위한 것 보다는 모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세척을 한다.
세척과 린스의 차이는 세척은 세척제를 사용한 Full 공정, 린스는 행굼 즉 세척제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물뿌림을 말한다.
'항공기 > 항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란대사관 미국 인질 구출작전 Operation Eagle Claw (0) | 2010.11.28 |
---|---|
항공기 타이어 세부 연구 (0) | 2010.11.24 |
항공기 사출좌석 (0) | 2010.11.07 |
비행기에서 발생하는 진정한 충격파 (1) | 2010.11.01 |
충격파인가 와류인가? (1) | 2010.11.01 |